전쟁으로부터의 발자취전쟁 체험자 전시/전후 증언 영상

헝그리 정신으로 걸어온 전쟁 후의 시대

우에하라 미치코 씨

생년:1935 년

출신지:이토만시

얀바루로의 피난

 1944년 10월 무렵, 아버지는 방위대에 소집되었어요. 그때 당시 저는 초등학교 3학년이었죠. 집에서는 말을 2마리 키웠고 마차도 있었어요. 아버지와 함께 마차를 타고 밭에 가서, 아버지가 일하는 모습을 보며 저도 돕곤 했어요. 그게 정말 좋은 추억으로 남아 있답니다. 그리고 바로 대피 훈련과 벙커 생활이 시작되었어요. 아만소 가마라는 벙커였는데, 당시 살던 이토만의 오도 마을에서 3km 정도 떨어진 곳에 있었죠. 그곳에 마을 사람들이 200명 정도 대피해 있었어요.
 3월 24일에 함포 사격이 시작되었고 오늘 중에 얀바루(본섬 북부)로 대피하라는 통보를 받아서, 어디서 지시를 했는지는 확실히 기억나지 않습니다만, 우리 가족은 24일 밤 9시쯤에 짐을 짊어지고 걸어서 얀바루로 도망쳤어요. 덕분에 목숨을 건질 수 있었죠. 어머니와 저희 5남매, 외할머니까지 7명이 함께 도망쳤어요. 피난처는 온나촌의 아후소 나카마였어요. 울창한 작은 산이 있었고 피난민 수용 체제가 갖춰진 곳이었죠. 낮에는 함포 사격을 피하기 위해 길에 숨어 있다가, 밤 9시 이후에 대피 장소로 향했어요. 꼬박 3박 4일이나 걸렸죠. 다리도 심하게 붓고 도착했을 때는 만신창이였어요.

피난 생활에서 수용소로

 수용된 곳도 온나촌의 아후소 나카마였어요. 3명의 미군이 총을 들고 정찰하러 왔지요. 그때 우리는 피난 오두막에 있었는데, 여자들은 30~40대의 젊고 예쁜 주부들이었거든요. 미군이 오면 여자들은 강간당한다는 소문을 들었기 때문에 주부들은 일부러 얼굴에 냄비 그을음을 칠해 새카맣게 만들거나, 머리도 노인처럼 풀어헤친 채 아기를 업거나 끌어안고 있었어요. 아이들은 오두막의 앞쪽에 앉혀 두었죠. 어느 날, 미군들이 총을 겨눈 채 오두막으로 들어왔어요. 미군은 우리에게 과자를 주려고 했죠. 아이들은 과자를 보자 모두 기뻐하며 서로 가지려고 다퉜지만, 누군가 오두막 뒤쪽에서 “독이 들어 있을 거야”, “먹지 마, 먹지 마”라고 하자 아이들은 깜짝 놀라 바로 과자를 내팽개쳤어요. 그때 군인들 중에 통역할 수 있는 사람이 있었는지, “먹어도 돼”라고 하며 우리 앞에서 과자를 먹어 보였어요. “저쪽에는 물도 음식도 많으니까 걱정하지 마”라고 하면서요. (그 후)우리 아이들은 과자를 잔뜩 받았죠.
 다음날 4~5명의 미군이 왔고 우리는 포로가 되었어요. 끈이나 로프가 아닌 억새 같은 풀로 양 끝을 묶고 약 2m 간격으로 수류탄을 엮어 두고는, 누군가를 선두에 세우더니 수류탄에 닿으면 위험하니까 도망칠 생각은 하지 말라고 하더군요. 그 길을 따라(산속 오두막에서) 광장으로 내려갔어요. 1시간 정도 걸어서 산을 내려왔고요. 광장에 사람들을 앉히고 DDT(살충제)라는 흰 가루를 뿌렸어요. 남자들은 모두 상의를 벗은 채 머리부터 DDT를 뒤집어썼어요. 여자들도 이가 득실대는 머리카락을 DDT로 소독했고요. 앉아 있는 동안에 뾰족한 물건을 전부 압수당한 후, 트럭에 실려 이동했어요.

이시카와 수용소에서의 생활

 이시카와 수용소로 끌려갔어요. 이시카와 수용소는 넓었어요. 철조망이 있고 가시 철사로 둘러싸여 있었죠. 그곳에는 가설 천막이 있었어요. 게다가 그건 한 가구만의 소유물이 아니었답니다. 바닥은 방수 시트가 아닌 흙바닥이었고요. 가까스로 비만 피할 수 있을 정도였죠. 천막 하나에 2~3가구가 수용되었어요. 천막에 가면 안은 진흙탕이었죠. 앉지도 못하고 방수 시트나 깔개도 없어서 각자 짚을 베어 와서 바닥에 깔았어요. 그렇게 해서 일단 한숨 돌릴 수 있었죠.  배급품을 받으러 오라고 하길래, 모두 줄을 서서 배급품을 받았어요. 나중에 알았는데, 배급품은 미군의 전투 식량이었다더군요. 통조림 안에 여러 가지가 들어 있었어요. 또 분유나 치즈도 있었죠. 담을 통도 없어서 손으로 들 수 있을 만큼 들고 자기 천막으로 돌아갔어요.
 당시의 남자아이들은 부모를 잘 챙겼어요. 그때는 중학생이 가장 부지런했죠. 언제든 중학생 남자아이들은 자기 몫의 배급품을 받으면 노인들이나 부모에게 가져다 준 후, 다시 배급을 받으려 줄을 서곤 했죠. 그런 식으로 아버지 대신 자기 가족을 돌본 거예요.

수용소에서 고향으로 귀환

 이시카와 수용소에서 이토만 나시로의 바닷가로 이동했어요. 이시카와 수용소에는 1년 정도, 나시로에는 반년 동안 있었죠. 그 후에 이토만의 고메스 오도로 이동했어요. 세 번 이동한 끝에 고향으로 돌아온 거예요. 우리 가족만이 아니라 세 가구가 한 집에 살았는데, 2×4(two by four) 규격 주택을 짓고 거기에 세 가구가 함께 살았어요. 고향은 모두 불타 전멸 상태였죠. 그곳에 규격 주택이 한두 채씩 들어서기 시작했어요. 규격 주택이 생길 때까지 나시로 해변에서 대기하다가, 집이 완성되면 차례로 입주하는 식이었죠.
 우리 마을 근처에는 쓰레기장이 있었어요. 미군이 쓰레기를 버리면 모두 뛰어가서 담요나 군복, 낙하산 조각 등을 주웠죠. 그런 것들을 집으로 가져왔어요. 그 중에는 먹다 남은 통조림도 있었어요. 먹을 수 있는 걸 골라서 그것도 집에 가져와 채소를 넣어 먹었죠.

전쟁 후의 학교 생활

 학교는 양철에 초가지붕, 흙바닥이었어요. 책상도 없는 정말 초라한 교실이었죠. 칠판 같은 것도 없어서 수업 내용을 땅바닥에 적곤 했어요. 어묵처럼 생긴 미군 막사가 학교 건물 대신이었죠. 둥근 지붕의 막사 교실이었어요. 당시는 학생 수가 너무 많아서 전부 교실에 들어갈 수는 없었어요. 그래서 밖에 나가 나무 밑에서 수업을 했죠. 의자도 없었기 때문에 기와나 납작한 돌을 직접 찾아와서 앉았어요. 미술 선생님은 나무 밑에서 나무 그림을 그리게 했고요. 그런 식으로 야외 수업을 했어요. 연필은 어딘가에서 오는 배급 물자에 들어 있었는데, 그 연필을 모두가 나눠 썼어요. (수업 때 쓸)종이는 백지가 아니라, 골판지 상자 같은 갈색 종이를 잘라서 노트 대신 사용했죠.
 우리는 미와 중학교에 다니게 되었고, 그때서야 처음으로 교실에 들어가 공부하게 됐어요. 하지만 교과서는 없었죠. 음악 선생님이 열심히 음악을 가르치거나, 그림을 그리는 수업을 주로 했어요. 처음에는 국어 수업 같은 것도 없었어요. 서서히 교육 환경이 정비되면서 교과서가 배급되었죠. 그리고 공책도 나눠 줬어요. 교원 면허를 가진 선생님은 별로 없었어요. 수학 선생님이 국어 같은 다른 과목을 함께 가르치는 식이었어요. 우리가 미와 중학교에 다니던 무렵엔 고구마 도시락뿐이라 항상 배가 고팠답니다.
 집에 가던 중에 누군가 말하기를, 혼백의 탑 주변에 토마토가 잔뜩 열려 있다고 해서, 네다섯 명이 모여 그곳으로 가 봤어요. 정말로 먹음직스러운 토마토가 열려 있더라고요. 우리는 그 토마토를 맛있게 먹었어요. 2~3일 정도 지나서 부모님께 그 이야기를 했더니, 토마토가 그렇게 잘 익은 이유는 그 밑에 사람 세 명이 묻혀 있어서 사람의 시체를 거름 삼아 자랐기 때문이라고 하시지 뭐예요. 너무 깜짝 놀라서 그 뒤로는 가지 않았어요. 거기서 나온 유골은 혼백의 탑에 안치되었다고 하더군요.

고등학교에 진학해 대학으로

 그때는 여자의 고등학교 진학은 상상하기도 힘든 시대였어요. 제 고향인 오도 마을에서 고등학교에 진학한 여자는 제가 처음이었죠. 고등학교에 진학한 남자도 있었지만 대부분 농사를 지었고, 여자들은 군대에서 일을 하거나 부모님의 일을 돕곤 했어요. 저는 불효자식이었죠. 저는 체격이 작은 편이라 농사일에는 소질이 없었어요. 체력도 별로 안 좋았고요.
 당시 오시로 도로쿠 선생님이 우리 중학교의 수험반 담당이셨어요. 선생님들께서는 밤마다 가정 방문을 했는데, 진학할 연령대의 학생 집에 가서 이 아이를 고등학교에 보내 달라고 열심히 설득해 주셨어요. 그 덕분에 우리 어머니도, 선생님도 그렇게 말씀하시고 너는 농사일에 소질도 없으니까 선생님 말씀대로 고등학교에 가라고 하셔서 고등학교에 진학하게 되었는데, 주변에서는 다들 저더러 불효자식이라고 했어요. 이런저런 고생을 했죠. 제가 고등학교를 다니고 대학에도 진학한다는 건 당시에는 사치였으니까, 대학 학자금은 직접 벌기로 결심했어요. 대학교 선생님 4분의 와이셔츠 세탁을 도맡아 하며 학비를 벌었어요. 그 외에 교실 3개의 청소도 했고요. 그러다 보니 자립할 수 있게 됐어요.

대학 졸업 후 현지 교원으로

 여자 체육 교직 과정은 2년이었어요. 2년 공부한 뒤 채용 공고가 나오면 졸업 후 곧바로 교직에 종사할 수 있어서, 저는 현지의 미와 중학교에서 일하게 되었어요.

청년들에게 보내는 메시지

 고난의 길을 헤쳐 왔고, 지금은 좋은 시대가 되었지만 우리는 그 시절을 극복해 왔어요. 마치 함포 사격의 잔해 같은 존재라는 조롱에 비관하기도 했지만, 감사하는 마음과 인내하는 헝그리 정신이 있다면 100세까지는 거뜬히 살 수 있을 것 같아요. 풍요로운 생활을 영원히 유지하려면 두 번 다시 전쟁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우에하라 미치코 씨는 중학교·고등학교 교원이 되어 사회 교육 활동과 평화 학습에 힘을 쏟았습니다. 퇴직 후에도 체험담을 통해 오키나와 전투의 실상을 널리 알렸습니다.